자료/소식Data News

자문사례

[건설·부동산] 도시정비법상 정보공개요청에 응할 의무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4-02-19

본문


도시정비법상 정보공개요청에 응할 의무 


변호사 김수환


관련 대법원 판례

 

최근 대법원은 전부개정 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상 조합원의 정보공개요청에 조합 임원 등이 응할 의무에 관한 구체적 해석을 내놓은 바 있다.

 

구 도시정비법 제81조 제6항은 조합임원으로 해금 열람·복사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요청에 따라야 하고, 복사에 필요한 비용을 청구인이 부담한다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열람·복사에 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았다. 이는 현행 도시정비법 역시 마찬가지인데(현행 제124조 제4), 많은 경우 조합은 현장교부를 원칙으로 하고 종종 청구인이 조합 사무실을 방문하지 않는 경우 청구의 의사를 철회했다고 봐 아무런 통지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대법원은 정보공개청구에 조합임원이 열람·복사에 응해야 하는 방법에 대해, “구 도시정비법 제81조 제2(현행 제124조 제2), 구 도시정비법 시행령 제70조 제2항 제5(현행 제94조 제2항 제5)에서 조합임원은 조합원에게 열람·복사 방법을 서면으로 통지하도록 규정해 개별 조합에게 열람·복사의 방법을 특정하지 않았다면 현장교부 외에도 통상의 방법인 우편, 팩스 또는 정보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해 열람·복사 요청에 응해야 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한 뒤, “구 도시정비법 제81조 제1(현행 제124조 제1)의 공개의무는 조합원의 요청이 없더라도 조합임원에게 그 의무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제81조 제6항의 열람·복사 요청에 응할 의무와 분리해 규정된 것으로 보일 뿐이고, 열람·복사를 요청한 조합원이 복사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한다는 규정만으로 현장에서만 열람 및 복사할 것이 요구된다고 해석할 수 없다고 해 청구인이 조합 사무실에 방문해 열람 및 교부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조합으로서는 우편, 팩스 또는 정보통신망 등 통상의 방법으로 열람·복사 요청에 응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만약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구 도시정비법 제86조 제6(현행 제138조 제1항 제7)에 따라 처벌된다고 판단했다(대법원 2018. 4. 26. 선고 201613811 판결).

 

, 조합으로서는 방법을 특정하지 아니한 청구인의 정보공개 요청에 대해 15일 내 각 요청 문서를 현장교부 외 우편, 팩스, 이메일 등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 대법원 판례 및 현행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소고

 

그러나 현행 도시정비법상 정보공개청구 제도는 조합원들의 알 권리 및 재산권 보호라는 순수한 목적 외에도 조합임원에게 임원결격사유를 만들기 위한 방편으로 악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선, 복사할 양이 많은 문서 예를 들어 조합설립동의서 일체, 총회 서면결의서 일체, 각종 용역도서 일체 등 투망적 자료 요청의 경우 매 요청에 15일 내 제대로 복사해 교부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도시정비법은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조합원의 모든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124조 제3항의 반대해석 및 다수의 재판례), 개인정보의 공개를 원하지 않는 조합원들은 그 의사와 상관없이 휴대전화번호, 주소 등 자신의 정보를 노출할 수밖에 없다.

 

또한 도시정비법은 정비사업의 시행에 관한 각호의 서류를 이미 작성·변경 후 15일 내 인터넷과 그 밖의 방법으로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도시정비법 제124), 이에 따라 서울시의 경우 클린업시스템을 도입해 모든 조합원으로 해금 언제든 열람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모든 조합은 조합원들이 알아야 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행규정을 엄격하게 해석하면 이미 인터넷 등으로 공개된 정보 역시 조합원에게 이를 복사해 교부하거나 원본을 교부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절차상, 행정상 낭비에 지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정보의 악의적 재가공, 유출이 용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합원의 알 권리와 공개 대상인 조합원의 개인정보보호, 정비사업의 투명성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정보공개 제도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제공할 양이 많은 문서의 경우 조합이 15일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규정을 두는 방법 정보의 임의 가공, 유출을 막기 위해 청구인에 대한 도시정비법 내 벌금 규정을 신설하는 방법(현행법상 개인정보를 목적 외 제3자에게 유출하는 조합원들에 대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처벌이 이뤄지고 있지만, 도시정비법에서 벌금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형평에 부합한다고 본다) 국가, 지자체에서 조합이 공개하는 정보에 공개청구한 조합원, 교부일시 등을 특정할 수 있는 제도 및 시설을 마련하는 방법(워터마크 출력 등 이미 많은 기업들이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고자 각종 방안을 시행 중일 뿐만 아니라, 개별 조합원이 클린업시스템에서 출력하는 경우 역시 이를 적용하고 있다)에 관한 논의를 이제는 시작해야 할 때라고 본다.

 

http://www.dos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8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일로(이하 “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주체의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① 게시판 글 작성 시 필수 항목에 대한 수집목적은 ‘별도의 구체적 상담을 위하여’이며 수집항목은 ‘이름, 이메일, 연락처’입니다.
② 전항 외에 고객의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요청 사항 처리 과정에서 ‘IP주소, 접속로그, 단말기 및 환경정보, 서비스 이용기록, 쿠키’와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수집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수집목적은 ‘사용자 홈페이지 이용, 사이트 이용에 대한 문의 민원 등 고객 고충 처리’입니다.
③ 사무소는 ‘홈페이지 고객 문의/고충 처리 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담’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는 원칙적으로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보유 및 이용되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본 처리방침에서 명시한 목적에 한해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동의가 있는 경우 또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거한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사무소는 현재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사무소는 현재 귀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직접 취급 관리하고 있습니다. 단, 향후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의 전문기관에 귀하의 정보를 위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귀하의 사전 동의 하에 개인정보에 대한 취급을 위탁할 수 있습니다.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무소에 대해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및 삭제, 처리정지 요구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사람을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른 위임장을 사무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③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대하여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① 사무소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사무소가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아니하고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③ 사무소는 파기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④ 사무소는 파기하여야 할 개인정보가 전자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며, 이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그 밖의 기록매체인 경우 파쇄 또는 소각합니다.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아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또는 담당부서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하여 신속하고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문건일 변호사
연락처 : 02.6952.5877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사무소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관련 법령, 지침 및 사무소 내부규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사무소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구성원에 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교육 등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등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 개인정보 보관장소에 대한 접근통제